분류 전체보기(688)
-
배포 서술자 (Deployment Descriptor) 에 대해서 파해쳐보자~
보통 배포 서술자라고 하면 웹 어플리케이션의 기본적인 설정 파일 정도로 알고 있었다. WEB-INF 라는 폴더에 들어있는 web.xml 파일.. 한마디로 외계어로 되어있는 파일이다... XML의 세계는 알수 업ㅂ다.. -_-;; 그래서 왜 웹 어플리케이션에서 배포 서술자를 사용하는가?????? 라고 책에 나와 있었다.. -_- 이 또한 외계어.. 컨테이너 호환성 유지 : 웹 어플리케이션의 배포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서로 다른 컨테이너에서도 별도의 설정 없이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을 운영할 수 있다. 효율적인 어플리케이션 유지보수 : 특정 서블릿 혹은 전체 어플리케이션에서 공유하기 위한 초기화 파라미터의 설정이 가능하므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간 데이터 공유가 용이 하다. 유연한 어플리케이션 운영 :..
2007.09.10 -
구글 코드를 이용한 SVN 계정으로 이클립스에서 활용하기 ③
자자.. 이제 한번 형상을 관리 해보실까나...일단 지난번에 배웠던 내용을 살짝 복습하자면... 흐흐.. 이렇게 생겨 먹은 놈을.. 이렇게 변신시키는것이 목적이었죠... 그럼.. 변신된 놈을 살펴볼가요?? JspStudy 라고 된 부분은 당연히 JspStudy라는 프로젝트 명이겠구요.. 2라는 것은?? Version을 말합니다. JspStudy의 두번재 버젼이라는 의미이고요.. 그 이하는 SVN 주소가 되겠지요?? 그럼 얘를 가지고 뭘한다는건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이렇게 생겨먹은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저도 초보이기 때문에.. 삽질을 좀 해서.. (3번이나 ㅠㅠ) 버전3 이라고 되어있군요.. 여기서 뭔가 사건을 한번 만들어 보겠습니다... 위의 코드들은 여러사람이 공동 작업을 하고 있는데.. Gu..
2007.09.07 -
구글 코드를 이용한 SVN 계정으로 이클립스에서 활용하기 ②
일단 이클립스는 WTP 1.8 에 여러가지 플러그인들이 깔려있는데.... 음.. 플러그인에 따라서 SVN 을 제공할 수도 있고 안할수도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시길 바랍니다. 먼저 이전에 만들어 놓은 계정으로 한번 들어가 보실까요? 그러면 위쪽 탭중에서 Source 라는 탭을 선택하여 주십니다~이런 화면이 나오지요?? 그럼 바로 아래 첫번째 파란색 박스가 보이시죠? Https://.... 이렇게 되어 있는 부분이 바로 SVN 계정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저부분을 기억하시로 이클립스를 실행 시킵니다! 좌측 하단에 보시면.. 아니면 설정에 따라서 저렇게 생긴 녀석을 찾으실수 있을거에요.. 클릭을 하십니다. 그다음에 선택을 하게 여러가지가 나오는데 그중에서 Others 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그중에 얘를 누르..
2007.09.07 -
구글 코드를 이용한 SVN 계정으로 이클립스에서 활용하기 ①
지난 웹 개발에서도 그랬듯이.. 물론 경험이 없어서 그랬지만.. 버젼 관리라는건 전혀 없었다. 물론 작은 규모니까 상관이 없다고 생각하고 있었지만.. 그렇지 않았다. 소규모 개발이든 학습을 위한 개발이든 하나의 프로젝트에서는 여러 개발자가 하나의 프로젝트를 담당하기 때문에 프로젝트의 규모가 커질수록 소스 관리가 점점 더 중요하다고 한다. CVS 나 SVN을 사용한 소스의 버젼관리는 굉장히 중요한 이슈이고.. 어떤 책의 인용구를 사용한 말이 있는데 이 말을 듣고 한번에 딱 와 닿으면서 그동안 얼마나 뻘짓을 했는지를 절실히 알려 주었다. 형상 관리 없는 소스코드는 백스페이스 없는 워드프로세서나 다름없다.정말 멋있는 말 아닙니까... 혼자서 개발하는 거라면 모르겠지만 여럿이서 함께 개발하는 것이라면, 나의 코..
2007.09.06 -
기본으로 돌아가서 좀 더 스킬을 배워보자...
처음에 만들었던 방명록 프로그램을 잊고 싶지만.. (끔찍하기 때문에..) 좀 더 기본으로 돌아가볼까 합니다.그래서 다시 Dynamic Web Project 를 하나 더 만들었습니다. 일단 웹 어플리케이션 디렉토리 구조를 한번 살펴볼까 합니다. 딱 만들어 보니까 대략적으로 이런구조를 하고 있더군요... 가장 모태가 되는것은 WARStructure 라는 이름을 하고 있는 프로젝트 이름.. 그리고 그 하위에 있는 것들이 src, build, WebContent 로 구분이 되어있었습니다. 하나하나씩 폴더를 가지고 살펴보도록 하죠. 아참.. 가장 위에 있는 Deployment Descriptor 는 패포 서술자 DD입니다.. 뭐 도메인에서 막 바꿔주고 그랬던 XML 파일 생각하시면 될거 같구요.. 맨 밑에 있는 ..
2007.09.06 -
여러가지로 미흡했던 방명록 프로그램..
어쨌거나.. 방명록 프로그램을 얼추 완성 시켰습니다. 문제는 엉성한 컨트롤러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하드 코딩이라는 점에서.. 약간 실망스러웠습니다. 약간의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하기도 했고요.. 아직은 스킬이 많이 부족해서.. 이렇쿵 저렇쿵 난관에 많이 부닥쳤습니다. 아직도 미완성 된 부분이 많지만.. 많은 분들에게 한번쯤?? 보시고 어떤 부분이 문제가 있는지.. 지적을 받기 위해서 용기내어 올려봅니다. CRUD에 약간의 문제가 있습니다. 도와주세요~
2007.09.06